조선시대 양반의 하루 다섯 끼 식사, 알고보니 검소했던 일상 밥상과 화려했던 제사상

 

조선시대 양반의 식사문화

조선시대 양반들의 식사 문화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과는 매우 달랐습니다. 

하루 다섯 끼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일상적인 식사는 매우 검소했습니다. 

아침에 미죽으로 시작해서, 조반, 중면, 석찬, 그리고 밤참으로 이어지는 다섯 끼 식사는 화려함보다는 예법을 중시했습니다.

일상 식사의 진실

양반의 일상 식사는 3첩 반상이 기본이었으며, 국과 밥, 김치와 된장, 나물 한 점 정도로 매우 소박했습니다. 특히 음식을 탐하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겼고, 자신의 입으로 음식의 맛을 논하는 것조차 꺼렸습니다.


상차림의 규칙과 예법

첩수의 의미

조선시대 반상의 첩수는 신분에 따라 엄격히 구분되었습니다. 궁중에서만 12첩이 허용되었고, 일반 양반은 9첩 이하로 제한되었습니다. 일상적으로는 3~5첩을 사용했으며, 손님이 왔을 때만 7첩까지 차렸습니다.

식사 예절의 엄격함

'상전무언(床前無言)', 즉 식사 중에는 절대 말을 해서는 안 되었고, 수저 소리도 내지 않아야 했습니다[4]. 식사 전에는 반드시 '삼고례(三告禮)'를 올려 하늘과 땅, 조상의 기운을 합일시키는 의식을 행했습니다.


특별한 식사 문화

양상수척(讓床瘦瘠)의 미덕

양반들은 '양상수척'이라 하여, 자신의 밥상을 아랫사람에게 물려주어 몸이 야위는 것을 덕으로 여겼습니다. 특히 안동 등 경북 북부지방에서는 어른이 밥을 남기는 것을 '체면'이라 했습니다.

독특한 식사 관습

양반들은 절대 점심때 남의 집을 방문하지 않았고, 일찍 와도 식사 시간이 되면 먼저 자리를 떠야 했습니다. 또한 종부는 부엌에 출입하지 않았으며, 상을 나르는 일은 남자 노비들의 몫이었습니다.

제사 음식의 특별함

반가음식의 진정한 본령은 일상식이 아닌 제사음식이었습니다. 자신은 굶어도 조상 제사 음식만큼은 정성을 다해 준비했으며, 이는 유교 문화의 핵심이었습니다.

제사 음식의 규범

제사 음식은 각 지방과 가문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정성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었습니다. 제사 음식 준비 시에는 시끄럽게 웃거나 말을 많이 하지 않았으며, 아이를 때리거나 여비를 나무라지도 않았습니다.

지역별 특색있는 반가 음식

양반가의 음식은 지역과 가문에 따라 다양한 특색을 보였습니다. 

종가집만의 비법이 담긴 장, 술, 떡 등의 레시피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양반들의 특별한 모임 문화

조선 후기에는 '연포회'라는 두부를 함께 먹는 모임이나, '난로회'라는 고기를 구워 먹는 모임이 있었습니다. 특히 두부는 선비들의 담백한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음식이었습니다.

현대에 미친 영향

조선시대 양반가의 식사 예절과 음식 문화는 오늘날 한국의 전통 음식문화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특히 종가집의 비법 음식들은 한국의 중요한 무형문화유산으로 보존되고 있으며, 그들이 추구했던 음식에 대한 정성과 예의범절은 현대 한국인의 식문화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