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과거시험의 충격적인 비밀, 시험지 바꿔치기부터 합격증 매매까지

 

조선의 관리 등용문, 과거시험

과거제도는 958년 고려 광종이 군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처음 도입했으며, 조선은 이를 계승하여 더욱 체계화했습니다.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현대의 공무원 시험보다 더 치열했습니다. 관직 진출의 유일한 통로였던 과거에 합격하기 위해 많은 선비들이 일생을 바쳤습니다.

양반들에게 과거 합격은 단순한 관직 진출 이상의 의미를 가졌습니다. 당시 양반 가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4대조 안에 관직자나 최소한 생원 또는 진사 합격자가 있어야 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과거 합격은 그 시대의 학력을 상징했으며, 한 개인의 인간됨과 도덕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문과, 무과, 잡과로 나뉘었던 과거 중에서도 가장 중요했던 것은 문과였는데, 이는 조선이 문(文)을 숭상하는 사회였음을 보여줍니다.

지역별 쿼터제와 시험 체계

흥미롭게도 조선시대에는 이미 지역별 쿼터제가 있었습니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성균관 50명, 한성부 40명, 경기 20명 등 지역별로 합격자 수가 정해져 있었습니다. 이는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획기적인 제도였습니다.

시험장의 긴장감

과거 시험장은 마치 요새와 같았습니다. 부정을 막기 위해 시험지에는 4대조와 외조부의 이름을 적어야 했고, 채점 시에는 이 부분을 잘라내 응시자를 알 수 없게 했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답안을 전문 필사관에게 다시 쓰게 해 필체로도 응시자를 알아볼 수 없게 했다는 점입니다.

합격자들의 화려한 축제, 유가 행렬

과거 합격은 개인의 영광을 넘어 마을의 축제였습니다. 합격자들은 왕으로부터 받은 어사화를 꽂고 3일간 거리를 행진했는데, 이를 '삼일유가'라고 했습니다. 악사와 광대들이 앞장서고, 수많은 인파가 뒤를 따르는 행렬은 조선시대 최고의 축제였습니다.

지방 출신 합격자의 특별한 혜택

지방 출신 합격자에게는 60일간의 특별 휴가가 주어졌습니다. '도문'이라 불린 이 기간 동안 고향에 가서 부모님께 인사드리고, 마을 사람들과 축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충격적인 과거 부정 사건들

기묘과옥 사건

조선 숙종 때 일어난 '기묘과옥' 사건은 조선 최대의 과거 부정 스캔들이었습니다. 합격자의 시험지를 바꿔치기하고, 시험관이 미리 응시자와 결탁한 사실이 드러나 전체 합격이 무효화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처벌의 수위

부정 행위자들은 제주도나 흑산도로 유배를 가거나 노비로 전락했고, 시험관까지도 엄중한 처벌을 받았습니다. 

당시 유행하던 "어사화냐, 금은화냐?"라는 동요는 과거 부정의 실상을 빗댄 것이었습니다.

과거시험의 흥미로운 방지책들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부정 방지책이 있었습니다. '상피제도'는 응시자의 친인척이 시험관이 될 수 없게 한 것이고, '배송'이라는 시험에서는 천막으로 응시자를 가려 공정성을 확보했습니다.

과거제도의 말로

수많은 부정과 비리에도 불구하고, 과거제도는 1894년 갑오개혁 때까지 조선의 인재 등용 제도로 기능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개혁론이 제기되었지만, 결국 시대의 변화 속에서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현대에 남긴 유산

오늘날 우리의 공무원 시험이나 각종 자격시험에서 볼 수 있는 엄격한 부정 방지 시스템은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전통이 이어진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시험을 통한 공정한 선발이라는 이념은 여전히 우리 사회의 중요한 가치로 남아있습니다.


다음 이전